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167721
비소가 암을 죽이는 이유 밝혀지다
중국과 프랑스 연구진이 공동으로 삼산화 비소(As2O3)가 어떻게 특정한 암 세포를 죽이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www.ibric.org
APL 유전자 변형이 PML-RARα 라는 융합 단백질 발현의 원인이 된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알려진 사실이다. 이 단백질들은 암 세포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삼산화 비소는 SUMO라고 불리는 세포 내 신호 단백질이 융합 단백질에 결합하도록 유도함으로, 융합 단백질이 부서지게 만들고 암 세포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하지만 어떻게 As2O3가 이런 반응을 일으키는지는 분명하지 않았다.
이번에 보고된 연구 결과에 의하면 As2O3를 융합 단백질이 포함된 세포 추출액에 첨가하면 단백질이 비용해성이 되고, 비소가 비용해성 물질과 결합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zinc finger 라고 불리는 PML 단백질의 특별한 부위에 찾아냈고,시스테인 잔기(cysteine residue)가 풍부한 이 부분에 비소가 결합하고 있음을 밝혀 냈다. 연구팀은 비소가 이 부분에 결합함으로 여러 단백질 분자들이 서로 교차-연결되고 입체 형태가 변화함으로 올리고머가 된다는 것을 보였다. 이렇게 바뀐 단백질은 SUMO에 결합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단백질들이 분해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Xiao-Jing Yan 박사는 비소가 어디에 결합하는지 알게 되면, 다른 약물이 포함된 물질을 디자인할 수 있어 보다 나은 치료제 개발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출처: [BRIC Bio통신원] 비소가 암을 죽이는 이유 밝혀지다 (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Board=news&id=167721 )
en.wikipedia.org/wiki/Retinoic_acid_receptor_alpha
Retinoic acid receptor alpha
1dsz: STRUCTURE OF THE RXR/RAR DNA-BINDING DOMAIN HETERODIMER IN COMPLEX WITH THE RETINOIC ACID RESPONSE ELEMENT DR1
en.wikipedia.org
레티노 산 수용체 알파 ( RAR-α )
'R&E 주제연구 > 1학기 4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주차 미팅-보고서/대화 내용 (0) | 2021.03.20 |
---|---|
***RNAi 기초이론 (0) | 2021.03.18 |
과제4) ***mRNA 검출 (0) | 2021.03.18 |
과제4) ***mRNA Northern blotting, RT-PCR 검출 전략 (0) | 2021.03.18 |
과제3)***siRNA를 transfection 방법 및 실행 (0) | 2021.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