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세_선행연구_참고) *새로운 구조핵산 기반 진단 시스템 개발(핵산나노기술의 의학적 응용)
<주의>
이 내용은 논문이 아니라 기고형식의 원고문이기에 연구검토 보고서 작성시 참고만 해야 합니다.
2. 2.절에서 소개한 이음새 핵산 단위체들은 간단히 접합 효소 결합을 그림 2. 네 개의 팔을 가진 핵산 단위체 모형 이용하여 이방형 자기 조립화(anisotropic self-assembly)시켜 다양한 나 그림 3. 이중 교차 핵산 모형 [Caltech의 Erik Winfree lab으로 부터 제공됨] 10 (사)한국바이오칩학회 노 조립체를 만들 수 있다. 본 연구팀과 코넬 대학의 Dan Luo그룹은 Y 형 핵산-3개의 팔(arm)을 가진 이음새 핵산의 주변으로 다른 Y형 핵산 을 일정한 비율로 가지화시켜 다세대 나뭇가지형 핵산을 조립하였다. [그림 5 참고] 이는 기존 화학적 결합을 통한 조립체와 다르게 효소반응 으로 형성 되어 높은 수율과 순도를 기대할 수 있다. 이들 핵산 덴드리머 (dendrimer-like DNA)는 세대 수에 따라 나노 크기에서부터 마이크로 크기까지 변화가 가능하고 수많은 제한 효소의 종류에 따라 염기 서열 의 일부를 변화시켜 그 이방성 특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참고문 헌16] 더불어 이음새 핵산 단위체의 구조에 따라 최종 생성물의 모양을 디자인 할 수 있고, 수용액상에서 쉽게 제작되며 핵산 본래의 뛰어난 생 체 적합성이 기대되므로 바이오 공학적 응용이 예상된다.
3. 구조 핵산 기반의 새로운 진단 시스템
현재 생리의학적 진단 목적으로 다양한 병원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 분석하기 위하여 감지 대상에 대한 여러 가지 암호화(encoding) 방법 이 물리화학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깊이 있게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진 단 및 치료 목적의 새로운 시스템을 위하여 생체 내 접근이 용이한 물질 을 만드는 데에 있어서 기존 소재의 생체 비 적합성, 마이크로미터의 크 기를 비롯한 해독 장치의 해상도 및 감도가 더욱 세밀해져야 하는 기술 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기존의 바코드 기술에 생체 적합성 및 크기 조절 이 비교적 용이한 구조 핵산 기술을 이용한다면, 진단 시스템의 본 목적 인 진단 뿐 아니라 치료적 측면까지 포함한 혁신적인 기술이 확립될 것 이라 예상한다.
핵산 나노기술의 의학적 응용
www.cheric.org/PDF/NICE/NI30/NI30-5-0539.pdf
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이용한 유전자 전달시스템 김원종 교수
https://atgc-haein.tistory.com/manage/newpost/53?type=post&returnURL=https%3A%2F%2Fatgc-haein.tistory.com%2Fmanage%2Fposts
atgc-haein.tistory.com
김영필교수
[분자신경생물학] 유전자 탐침(Gene detection)
어떤 특정한 유전자가 어느 조직에서 발현되는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기존에 알고 있던 방식인 노던 블...
blog.naver.com